[UX] 정량조사/정성조사
2021. 10. 25. 17:19
728x90
01 정량조사
정량조사란 조사를 했을때 결과가 수치나 양으로 나오는 경우. (기업 선호, 객관성, 효율성)
01-1 정량조사 방법
- Survey (Papaer, Phone, Online)
- 장점
- 수행방법 용이
- 단 시간내 많은 데이터 확보 가능
- 결과 정리가 쉬움
- 동일한 질문지로 오류 최소화
- 단점
- 신뢰도 30%
- 질문이 모호한 경우 해석의 차이 발생
- 정성조사: 정량조사를 제외한 결과 모두. (디테일, 정확)
- 장점
- Log Data (Web, Mobile)
- 장점
- 데이터 신뢰도 매우 높음
- 단 기간내 다량의 데이터 수집 가능
- 인과관계 분석하기 쉬움
- 결과 정리가 쉬움
- 단점
- 소프트웨어 설계 및 분석 비용 발생
- (초기) 확보된 데이터 없으면 활용 불가
- 장점
01-2 리서치 목표 설정
02 정성조사
정성조사란 정령조사외에 모두를 포함.
02-1 정성조사 방법
- 포커스 그룹 인터뷰 (FGI)
- 장점
- 설문조사 보다 더 명확한 의견 수집 가능
- 1:1 인터뷰에 비해 저 비용
- 그룹 내의 시너지 효과 발생
- 단점
- 진행자 (Moderator) 의 능력에 의해 좌우됨
- Opinion Leader의 관린 소홀시 문제 발생
- 리포터별 해석의 차이 발생
- 장점
- 1:1 심층인터뷰
- 장점
- 개인별 다양하고 풍부하게 수집가능
- 다른 방법으로 수집하기 어려운 의견 수집가능
- 전문 식견을 청취하는 것이 가능
- 단점
- 조사 결과의 일반화가 어려움
- 참여자별 인터뷰 방식의 차이로 통일한 기준의 해석불가
- Tip
- 아무리 어색하더라도 '아이스 브레이킹' 을 꼭 한다.
- 나의 모든 말은 평서문이 아닌 질문으로 대화를 이끌어간다.
- 선입견과 주관이 들어간 이중질문을 하지 않는다.
- 한 주제에 대해 3번 이상 꼬리물기 질문을 해서 진짜 속마음을 알아낸다.
- 장점
- UT
- 장점
- UXUI 문제점을 명확하게 발견 가능
- 단점
- 프로토타입 제작기간/ 비용 발생
- 대화없이 행동기반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해석의 차이 발생
- 장점
- Field Study (Contextual Inquiry)
- Observation (Ethnography)
- 장점
- 상황, 맥락적 관점의 문제 발견 가능
- 단점
- 매우 많은 시간 필요 (3시간)
- 리포터별 해석의 차이 발생
- 장점
- Self Diary (User Diary)
- 장점
- 상황, 맥락적 관점의 문제 발견 가능
- 설문조사보다 더 술직한 답변 가능
- 단점
- 많은 비용과 시간 발생 (N-day)
- 리서치 수행의 번거로움
- 장점
02-2 생각의 정리
02-3 카드 작성 방법
728x90
'UXUI > 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X] 퍼소나 (Persona) (0) | 2021.10.25 |
---|---|
[UX] UX 4가지 관점 (0) | 2021.10.25 |